반응형 Trading35 트럼프와 바이오주 대선 전까지만 해도 바이오가 흐름이 좋았다. 내 전략대로 특정 기업을 사지 않고 etf를 샀었다.그런데 트럼프에서 인선한 보건복지부 장관이..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167588.html 백신 음모론자인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설마 했는데 jfk친척 맞구나) 란다..이때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나름 저점 매수라했지만 거기서도 더 떡락했고.. 이때 빨리 눈치껏 etf를 매도했어야했는데 놓쳐버렸다.근데 아무리 이런 사람을 앉혀놔도 떡락할 일인가 싶다. 각 회사의 매출을 봐야하겠지만 과연??차라리 지금이 바이오주 추매 타이밍일수도 있다. 2024. 11. 23. 비트코인 수익률 무려 1644% !! 간만에 빗썸에 들어가보니 어마어마하게 올랐다!!!!실상은...아마도 17년에 구입했다 대부분 뺐었는데 조금 남아 있었나보다.기념으로 1비트 사놨었어야했는데.. 크흑..ㅡㅜ 2024. 11. 22. (2년 6개월 검증된?) 비트코인 & 이더리움 매매 전략 필자가 19년도에 타의로 블록체인에 대해서 조사해본적이 있는데, 아무리 봐도 비트코인, 이더리움 말고는 다 스캠코인으로 보였다. 정말 쓸모가 없어보였고, 그냥 특정 용도로 쓰려면 하이퍼렛저 쓰면 되는걸로 보였기 때문이다.굳이 퍼블릭으로 쓰고 싶다면, 이더리움 플랫폼(스마트컨트랙트)을 쓰면 되는데, 다른 코인이나 토큰들은 솔직히 돈 주거 쓸 이유가 전혀 없었다.비트코인은 금과 같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라서 이 둘은 반드시 살아남을거라(우상향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ㅎㅎㅎㅎㅎ) 생각했다. 그 당시 2천만원대였나? 뭐 암튼... 1개라도 좀 사둘껄.. 쩝;;17년부터 여러가지 전략을 봇으로 사용해봤지만 오래 못갔다. 너무 욕심을 부린것도 있었고, 말도 안되는 전략을 쓴것도 있었다.그래서 .. 2024. 11. 12. 비트코인 전고점 돌파와 업비트 이벤트 비트코인이 트럼프 효과에 힙입어 전고점을 돌파했다.업비트에서는 매일 1회이상 거래를 하면 매일 5명한테 각각 0.1 BTC(천만원 가량?), 5천명한테 만원 정도를 준다고 한다. 사실 업비트 광고를 하려는건 아니고, 오블완 이벤트땜에 올릴게 애매해서 올린다. ㅎㅎ;필자는 봇을 만들어서 매매를 하고있다. 손매매를 하다가 손해를 봐서 그냥 봇을 만들어 두었다. 22년부터 돌리고 있는데, 다행히 이 봇이 원금을 복구하고 오늘에서야 원금대비 50% 의 수익률을 돌파했다. 애초에 사놨으면 좋았을테지만 그건 결과론일 뿐이고.. 이 봇의 전략은 단순하다 9시에 딱한번 5일 > 20일 이평선을 기준으로 적당한 조건이 되면 매수를 하거나 반대로 매도를 한다. 그래서 인지 평소 횡보장에서는 조금씩 깎아먹는다. 최고점 대비.. 2024. 11. 11. Kodex Top5Plus TR 미증시에 비해 우리나라 증시는 너무 패대기 쳐있다. 이유는 분명하게 알수 있긴한데, 개인적으로 너무 저점이라 생각한다. 전체 지수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더 기대되는 이 Kodex Top5Plus TR을 좀 담아볼까 한다. 경제가 안좋으니 저평가 된 것인건 분명한데, 왜 전세계를 기준으로 했을때 상대적으로 좋지 않나 하는 것이다. 삼성전자가 좀 흔들리고 있지만, 하이닉스와 현대차는 좋기만 하다. 대표 기업들을 보는 것보다 환율을 보는게 가장 중요할 것 같다. 1400원을 무슨 뉴노멀이란 얘기를 해대는데... 뭔가 예상하기보다는 지금 현실이 정말 좋지 않다. 미국이 금리를 내릴때 우리는 계속 유지하는게 좋을거 같다.그리고 정책으로 뭔가 나라가 제대로 돌아가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근데 지금.. 2024. 11. 9. 미국대선과 주식 투자 재개 박종훈님의 지식한방을 즐겨보는터라 사실 트럼프가 이긴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워낙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면서 말씀하시니 믿을 수 밖에 없었다. 웃긴건 그걸 알면서도 아무런 투자를 안했다는 거다. 덕분에 테슬라 탑승할 기회는 영영 사라진 듯하다. 대선때까지 워낙 요동치다보니 대선끝나고나서야 다시 시작하려고 했다.국내 주식 현황은 주덕님을 참고하는 편이다. 예전에는 그래프상 매매 기법을 주로 하셨는데, 언제서부터 시황 중심으로 컨텐츠가 바뀌었다. 직장인이라 시황파악하기 시간이 부족했던 터라 지금의 방식이 나에게는 훨씬 유용하다. 그리고 네이버의 증시뉴스, 매일경제의 증시기상도를 참고하면서 사야할 섹터의 ETF를 고르는게 좋다. 어차피 나는 개별 종목을 고르는 능력이 없다. 그나마 매크로 투자를 하는게 나은거 .. 2024. 11. 8.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