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Kubernetes8

오픈소스 활용 vs 자체 개발: 클라우드/인프라 시스템 전략 비교 by gpt 오픈소스 사용과 자체 개발의 장단점 요약기술적 측면:오픈소스 활용 – 검증된 컴포넌트를 활용하여 빠르게 개발 가능하고, 커뮤니티의 기여로 지속적 개선이 이루어집니다 (동향정보 - IDG 블로그 | 클라우드 시대에 오픈소스가 ‘필수’인 이유). 다수 기업이 오픈소스 코드를 활용하는 것은 이제 “테이블 스테이크”로 여겨질 정도로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Corporate Open Source Programs are on the Rise as Shared Software Development Becomes Mainstream for Businesses - Linux Foundation). 하지만 기존 오픈소스 솔루션을 자신들의 특수한 문제에 맞게 적응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종종 며칠을 들여 통합하.. 2025. 3. 22.
기업 내부 프로젝트의 오픈소스화 사례 by gpt Kubernetes (Google)개발 배경 및 목적Kubernetes(쿠버네티스)는 Google이 내부에서 오랫동안 운용해온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경험을 바탕으로 탄생한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Google은 Borg라는 클러스터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여 수십만 개의 작업을 대규모 클러스터에서 스케줄링해왔으며 (The Evolution of Kubernetes: From Borg to K8s and How it Became the Standard for Container Orchestration | by Roman Glushach | Medium), 이러한 경험을 외부 클라우드 생태계에 활용하고자 했다. 2014년 Google 엔지니어 Joe Beda, Brendan Burns, Cr.. 2025. 3. 21.
kubectl 플러그인(Plugin) 추천 kubectl 관련하여 사용 팁을 공유하고자 한다.CheatSheethttps://kubernetes.io/ko/docs/reference/kubectl/cheatsheet/쉘에 등록하는건 CKA시험볼때도 유용하다. 다른건 몰라도 쉘 설정은 필수로 하자. kubectl -> k 로 줄여서 쓰는거는 처음부터 설정하는게 좋다.Kubectl Pluginskubectl은 여러가지 플러그인을 제공한다. 17년도에 비해서 체계가 잡혔고, 워낙 다양한 플러그인이 나오고 있는데, 사용편리성과 디버깅 측면에서 몇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사실 필자도 몰랐던 플러그인도 많았다)krew 를 이용하면 여러가지 플러그인을 찾아볼 수 있다. k krew search...access-matrix Sho.. 2025. 3. 9.
[ENG] Basic Understanding of Prometheus Query (PromQL) The following is a translation into English of a blog post I wrote in 2017.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some errors in the translation. Prometheus Query (hereafter PromQL) differs from SQL, and when you first encounter it, you might find it somewhat challenging to understand. However, once you fully grasp it, you'll realize that it is a well-designed language. In this section, we aim to explai.. 2024. 12. 30.
Jupyterhub with spark on k8s 설치 삽질기 & 팁 주피터 노트북과 스파크는 워낙 잘 알려진 오픈소스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굳이 언급하지 않으려 한다. 여기서는 k8s 상에 주피터를 어떻게 잘 설치할 수 있으며, 주피터 상에서 스파크 executor 를 어떻게 실행할수 있는지, 단순히 혼자서 쓰는게 아닌 여러명이 어떻게 공간을 분리(멀티테넌트)하여 제한된 리소스로 사용하도록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할수 있는지 설명한다. (보안측면에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는다. k8s에서 networkPolicy 등 세밀한 설정이 필요하겠지만 그건 필요에 따라 레벨이 달라지기 때문이기도 하고, 자칫하다가는 주피터 노트북의 기본 동작 조차 안되는게 있을 수도 있다)또한 스파크의 배포형상에 대해서도 논하지 않는다. 주피터 노트북에서는 cluster 모드 보다는 c.. 2024. 10. 26.
kube-state-metrics Horizontal Sharding(auto scaling) 쿠버네티스 모니터링에서 중요한 담당을 하고 있는 kube-state-metrics의 스케일아웃에 대해서 얘기해보자 한다. kube-state-metrics는 쿠버네티스 리소스들의 메타 및 상태정보를 메트릭으로 export해주는 컴포넌트다. 프로메테우스에서는 이 메트릭들을 수집하고, 더불어 cpu/memory 등 실제 다른 메트릭과 룰을 통해 새로운 메트릭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파드 상태 및 재시작/재시작 이유 등을 알수 있으며, 노드 또는 파드의 자원정보를 IP가 아닌 이름으로 표시해줄수도 있다. kube-state-metrics는 보통 Deployment 1개로만 배포되기 때문에 노드 또는 파드가 많이 늘어났을때 성능을 뒷받침하기 위해 스케일업을 하게 된다. 필요한 경우 노드 크기에 따른 auto s.. 2024. 1. 9.
반응형